운명처럼, 생명의 전선에서 <- <- 여기를 클릭하면 해당 홈페이지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2006년, 당시 WHO 사무총장 이종욱 박사가 세상을 떠났다.
소박하고 겸손하며 늘 행동하는 모습을 보인 리더,
국제기구의 수장으로 세계의 가장 가난한 곳을 먼저 돌아보며 발로 뛰었던 리더였기 때문이다.
질병 퇴치를 운명처럼 받아들이고 앞장섰던 그의 삶과 유산을 찾아본다.
이종욱 박사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직접 찾아 그의 삶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모았다.
일본 아가씨와 사랑에 빠졌던 청년 시절과 결혼 이야기, 돈을 아껴 새 차를 장만하고 들뜬 이야기,
부하 직원들에게 스스럼없이 던졌던 농담들...
'사무총장' 타이틀 뒤에 숨겨진 ‘인간 이종욱’의 소탈한 모습을 만나본다.
이종욱 박사의 행적은 인류가 질병과 맞서 싸운 역사와 맞닿아 있다.
특히 그는 소아마비, 결핵, 에이즈, 한센병 등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을 근절하기 위해
현장을 직접 방문하며 노력을 기울였다.
가난해서 약이 있어도 치료받지 못하는 에이즈 환자들을 위해 고안한 '3 by 5' 캠페인.
막대한 재정이 드는 이 프로그램을 모두 반대했으나, 그가 우직하게 시행한 결과
현재 치료제 보급률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다른 질병의 관리 방법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이종욱 박사 서거 후에도 그의 뜻에 공감하는 동료와 후배들이 그 뒤를 이어가고 있다.
피지의 조셉 투파 박사는 이종욱 박사와의 만남을 계기로 공중보건 전문가의 길을 걷고 있다.
학생 시절 그의 강연을 들었던 의사 장효범은 현재 이종욱 박사가 일했던 아메리칸사모아의 한 병원에서
그 발자취를 따라가고 있다. 부인 레이코 여사 역시 페루에서 빈민가 주민의 자립을 위해 뜨개질을 가르치고
완제품을 판매하는 일을 하고 있다. 세계 각지에 이종욱 박사가 남긴 유산을 직접 확인한다.
그가 품었던 뜻은 세계 공중보건의 큰 틀을 바꾸었고, '이종욱 2세'를 탄생시켜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에게
여러 혜택을 골고루 나누어 주고 있다. 그가 우리 곁을 떠난 지 10년이란 세월이 지났지만 그의 정신은 여전히
살아있을 뿐 아니라 확장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것이 우리가 여전히 그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이다.
[출처] KBS1 'KBS 스페셜'
[방송일시] 2016년 9월 1일 목요일 밤 10시
[서비스 이용 방법 (무료)]
1. 본 게시글 위쪽의 '운명처럼, 생명의 전선에서' 클릭하여 KBS TV홈페이지로 이동하기
2. 화면 위쪽의 로그인 메뉴에서 로그인하기 (회원정보가 없는 경우 회원가입하여 이용)
3. 본문 위쪽의 이미지 (재생버튼)을 클릭하여 시청 가능
![]() |
다음글 | 세계를 제패한 배구 여왕, 김연경 | 2016.11.10 |
![]() |
이전글 | 한국인 승려 최초 미국 뉴햄프셔대학 교수, 혜민스님 | 201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