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세상. 음식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말하자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배달의 민족"을 얘기 할 것이다. 이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배달의 민족".
김봉진 대표는 서울예술대학 실내디자인과를 졸업하고 국민대 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 석사과정을 마쳤다. 졸업 후 네오위즈, 네이버 등에서 디자이너로 일한 뒤 2010년 배달의 민족 앱 서비스를 런칭하며 우아한 형제들을 창립했다. 현재 배달의 민족, 배민라이더스, 배민프레시, 배민쿡, 배민키친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 김봉진 대표는 경영학도나 공학도 출신이 아니라 디자이너 출신입니다. 게다가 고교 시절 공부를 잘하지 못했다고 들었습니다. 사회에 나와서도 가구 디자인 사업을 하다 실패하기도 하셨는데 지금까지 살아오신 과정이 정말 드라마틱합니다. 그런 삶 속에서 대표님이 지켜온 철학이나 좌우명 등을 듣고 싶습니다.
Ans 사무실에 ‘이번 고비가 지나면 다음 고비가 온다’ 라는 글귀를 적어 놓았습니다. 살다보면 이번 고비만 지나면 편하게 잘 살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고비는 나를 성장시킬 수 있는 축복이고, 이번 고비를 잘 넘겼기 때문에 더 큰 고비가 왔을 때도 담대해 질 수 있습니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부터는 어떤 어려움이 와도 견딜 수 있는 내성이 조금은 생긴 것 같습니다.
■ 대표님을 생각하면 누구나 배달앱을 떠올릴 겁니다. 배달앱의 아이디어를 어디서 얻었는지 창업과정을 들려주세요. 어려움을 없으셨는지요.
Ans 아이폰이 국내에 처음 들어왔던 당시 IT 분양에 많은 사람들이 직접 앱을 개발하고 비즈니스로 연결하는 시도를 했습니다. 저도 그 중 하나였구요. 저는 스마트폰의 본질이 전화에 있다고 봤습니다. 스마트폰에 주변 업소를 노출시키면 이를 통해 들어 오는 이용자의 로그데이터가 쌓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가 가능하다고 봤습니다. 이를 배달 음식 시장에 접목해 보자는 생각이 첫 아이디어였습니다. 서비스를 만들 당시에는 지금처럼 서비스가 커질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개발자인 친형과 주변 지인들이 각자의 회사를 다니며, 재미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회의가 필요하면 주로 메신저나 화상통화를 이용했고, 주말에는 답십리에 있는 카페베네에 모여서 작업했습니다.
카페에서 맥북과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 같은 것을 꺼내 놓고 작업하면 주변 사람들이 신기하게 봤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는 함께 뭔가를 만드는 것 자체가 재미있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사업화하기로 한 것은 앱을 만들고 거의 1년 후 였습니다. ‘우아한 형제들’을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는데, 가장 어려운 일은 수입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수익이 없으니 월급도 없었고요. 당시에는 데이터베이스를 늘리는 방법으로 길에 나가 전단지를 모았습니다. 나중에는 노하우가 생겨 재활용센터를 돌거나 아파트에서 경비로 일하시는 분들의 도움을 받기도 했습니다.
■ 일련의 TV 광고가 빅히트를 쳤습니다. 광고 컨셉트는 본인의 아이디어였나요?
Ans 광고대행사에서 제안해주신 콘셉트였구요. 보자마자 ‘ 우리스럽게’ 나와 좋았습니다. 매스 광고 이전에도 배달의 민족이 진행한 일련의 활동들은 ‘우리 다운게 뭘까’ 라는 고민으로부터 시작됐습니다. 배달의 민족을 가장 많이 쓰는 사람은 누구일까 생각해보니 조직의 막내들이더라고요. 메뉴는 함께 고르지만 주문은 주로 직장의 막내, 학교의 막내, 집안의 막내가 합니다. 저희는 이들이 좋아하는 것들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B급 코드, 패러디, 키치한 콘셉트는 배달의 민족을 설명하는 특징 중 하나가 됐습니다.
■ 배달앱이 나올 당시 비슷한 사업을 벌인 업체가 두 곳인가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 경쟁이 치열했을 텐데요. 배달앱이 성공할 수 있었던 차별화 전략과 마케팅 요소를 들려주세요.
Ans 차별화는 자기다움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경쟁사보다 나은 것이 무엇인가를 찾기 위해 경쟁사를 의식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경쟁사의 활용에 집중하게 되고, 결국 자기다움을 놓칠 수도 있습니다. 저희는 그보다 배달의 민족다운 것이 무엇일까에 집중합니다. 그러다 보니 배달의 민족만의 독특한 문화가 생겨날 수 있었고, 그것이 차별성이 됐던 것 같습니다.
■ 우아한 형제들은 독특한 사내문화로 유명한데요. 언제부터 그런 생각을 하셨나요. 또 정착하기 까지 부작용은 없었나요?
Ans 회사를 차리고 좋은 복지란 무엇인가를 고민하다 ‘복지’라는 단어를 검색해 봤는데 복지란 결국 ‘직원의 행복’ 이더라고요. 그때부터 모든 구성원들에게 좋은 회사가 무엇인지를 물으며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관리보다는 관심을 주고 수평적으로 소통합니다.
■ 벤처업계와 인연을 맺으면서 가장 보람 있었던 일과 아쉬웠던 일을 꼽는다면….
Ans 구성원의 부모님들에게서 ‘좋은 회사를 다니게 해줘서 고맙다’는 연락을 받을 때 회사를 만든 보람을 느낍니다. 좋은 투자자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것도 큰 기쁨입니다. 좋은 기억들을 떠올리니 특별히 아쉬웠던 순간은 기억이 잘 안나네요.
■ 지금 스타트업을 막 시작한 앞으로의 후배나 꿈꾸는 후배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기업을 할 때 이것만은 지켜라’하는 바람이나 혹은 조언을 3가지만 들려주세요.
Ans 먼저 평균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는 연습을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평균적인 사고방식이란 그 시대에서 동일하게 이야기되고 이해되는 것을 말합니다. 사실 모두가 맞다고 이야기 되는 것들을 따라가는 것이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는 아는 것은 아는 만큼 이야기하고 모르면 모른다고 이야기하라는 것입니다. 누구나 시작할 때는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그럴 때 일수록 솔직하게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인전이나 고전과 친해져 보기를 권합니다. 저 같은 경우 사회에 나와 다시 보는 위인전이나 고전에서 새로운 깨달음을 많이 얻고 있습니다.
[관련 동영상]
https://www.sdf.or.kr/yearly/session_end.jsp?year=2014&lang=kr&vod_cd=10000000267
(로그인 없이 시청가능)
[출처]
• 벤처기업협회 <대한민국 벤처 20년사>
• 일과 직업의 종합 매거진 네이버 JOB&
• 중앙일보 [퓨처앤잡] 국내 1위 배달앱 ‘배달의 민족’ 김봉진 대표 “성공과 행복의 기준 달라져야”
http://news.joins.com/article/21947278
![]() |
다음글 | 영혼으로 춤추는 발레리나 '강수진' | 2017.11.01 |
![]() |
이전글 | 사랑을 나누는 한의사, 이승헌 | 2017.08.28 |